안녕하세요. 여수 반 현지인입니다. 요즘 들어서 날씨가 엄청나게 추워지네요. 이주 중에는 계속 더 추워진다고 하니 다들 나가실 때는 준비 단단히 하셔야 할 거 같아요. 오늘은 나름대로 의미있는 날입니다. 오늘이 아니고 어제네요. 뭐냐.. 서민들에게 1억 이하의 신용대출을 완화해준것이죠.서민뿐만아니라 고소득자까지 오늘은 범위가 넓어졌네요. 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1/05/2021010501340.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은행 신용대출 확대…KB국민, 의사·변호사 3억까지 가능 은행권이 지난해 연말 중단했던 비대면 신용대출 상품 판매를 재개하고 낮췄던 신용대출 한도를 속속 올리고 ..
사실 부자가 되는 법은 간단합니다. 묻지않고 직접 찾는것이죠 그 방법이 무엇이지. 그리고 실행하는겁니다. 제가 보면 항상 질문만 하고 다니는 사람은 가난한 사람이 많습니다. 누가 뭐 좋다고 하면 대뜸 물어보고 아니다 그건 뭐다. 어쩐다. 말들이 많지요. 책을 한권 읽을려고 해도 "뭘 읽어야해요? 한권 추천해주세요" 뭐 이런말만 달고 살지 실제로 추천을 해주면 일기는 커녕 답글을 다시 보기나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어떤 사람은 대답준답시고 말도 안돼는 일로 사기를 치고 다니기도 하지요. 부자되는법??? 저도 제가 부자라고 생각하는 기준에 아직 미치지는 못했지만 항상 생각하는 실행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부동산?? 주식?? 가상화폐?? 한번이라도 해보고 감놔라 배놔라 하면 좋을꺼 같아요. 한번 해보세요..
법정지상권과 토지경매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법정지상권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저도 자격증 준비하면서 처음 들었던 용어이고, 중개업무를 하면서도 사용할 일이 많지는 않은 용어인데요. 법정지상권은 어떤 경우에 쓰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은 건물과 토지의 소유자가 각각 다른 명의로 되어있는 상태여야 합니다. 법으로 정해져있는 일정 요건을 갖춘 건물 소유자에게 건물을 위한 토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권리가 발생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당사자들 간의 계약이나 등기와 상관없이 법률 규정에 의하여 인정되는 권리입니다. 법정지상권이 성립하는데 있어서 등기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만 나중에 처분할 때는 등기를 해야 합니다. 법정지상권이 성립하는 4가지 경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경매 - 저당권으로 인해 경매에..
보증금반환요청과 내용증명에 대해 안내하겠습니다. 전세 또는 월세로 살다가 계약기간이 만료되는 시점에 다른 곳으로 이사를 계획하시는 분들 많으신데요.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임대인에게 이사를 갈 테니 보증금을 반환해달라고 요청을 합니다. 주인이 보증금을 가지고 있다가 세입자한테 그대로 빼주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부동산에 내놓고 다른 사람이 들어오면 그 돈을 내주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시세가 예전보다 낮아졌는데 반영하지 않고 그대로 내놓거나 오히려 올리는 경우에는 당연히 금방 계약이 되질 않습니다. 날짜가 다가올수록 답답한 임차인은 본인의 보증금을 반환받을 수 있는 방법을 찾습니다. 임차인이 활용하는 방법으로는 임대차등기명령과 보증금 반환 소송이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택한다면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임대차..
요즘은 백세시대란 말이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평균 수명이 늘어 백세이상 인구가 적지 않습니다. 가까운 일본만 해도 백세 이상의 인구가 만명을 넘긴 것이 오래되었고, 우리나라도 2015년을 기준으로 인구 통계에 의하면 3,159명이나 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총 인구 : 49,705,663명, 80-100세 미만 인구 : 1,854,472명(27%)) 그러므로 우리는 행복한 노후를 위해 건강과 경제력, 이 두가지는 꼭 준비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 평균수명 연장과 함께 이슈가 된 것은 건강나이라는 개념입니다. 건강나이란 무엇일일까요? 건강나이란 것은 늘어난 수명기간동안 팔팔하게 살 것이냐.. 골골대며 벽에 똥칠?하며 살 것이냐를 판가름하는 기준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건강나이는 흔히 신체나이라고도 불립니다..
부자가 되는 기본적인 순서는 1) 돈을 번다 2)돈을 모은다 3)돈을 불린다 라고 생각합니다. 대부분 3)에 관심이 많고 이슈가 많이 되죠. 주식, 비트코인, 부동산 등등.. 왜냐하면 2)를 통해 이룰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드라마틱한 변화를 가져온다고 생각하고 희망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투자를 시작하기에 충분한 자금이 확보되지 않았다면 2)가 정말정말정말 중요합니다. 이와 관련해서 몇 가지 도움 되는 것을 적어보려 합니다. 다들 알고 계시는 내용이겠지만 환기시키는 차원에서 보시고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 수입 > 지출 구조 우선 이게 가장 기본입니다. 아무리 돈을 많이 벌어도 수입 > 지출 구조가 되지 않으면 돈이 쌓이지 않죠. 그러려면 우선 1) 가계부를 써서 자신이 실제 한달에 얼마를 어..